리눅스(Linux) 설치 도구 만들기 - Booting USB & GRUB

Linux 2014. 11. 29. 08:20
728x90

리눅스(Linux) 설치 도구 만들기 - Booting USB & GRUB

리눅스 사용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설치도구에 관한 관심이 아주 높아 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리눅스를 설치 할 수 있는 방법들 몇가지를 간단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 Windows 에서 리눅스 설치 도구 만들기 >

OS에 따라 부팅 USB가 안만들어지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여러가지 프로그램들에서 도전해 보세요

1) Pendrive

http://www.pendrivelinux.com/ 에서 제공하는 
Universial USB Installer 와 YUMI (Your Universial Multiboot Installer)를 
먼저 살펴 보겠습니다.

Univeraisl USB Installer 는 USB 자체에 설치해서 이용하는 것으로 , 

어디든 컴퓨터에 꽂으면 바로 OS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겁니다.
물론 사용중인 OS를 컴퓨터에 설치하게 할 수 도 있구요,
그렇게 포터블 OS의 기능을 함께 할 수 있다는 겁니다.
이 글을 참고하세요 http://bagjunggyu.blogspot.kr/2012/09/maya_26.html

YUMI는 usb에 설치할 OS의 iso를 읽어 들여서 

램드라이브에서 설치하게 만들어 놓은 도구입니다.그래서 훨씬 빠르죠, 
이것은 USB의 용량만 허락 한다면 , 하나의 USB로 아주 많은 OS들을 설치 할 수 있도록 해준답니다.
이글을 참고하세요 http://bagjunggyu.blogspot.kr/2013/05/os-usb-os-usb-usb-create-multi-os.html

그리고, 한 가지 더 YUMI에서는 boot-repair를 함께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32-bit 와 64-bit 둘다 별도로 나와있으니, OS 설치도구들과 함께 더불어 설치 하시면 
아주 편리하게 os 설치와 boot-repair 도구를 만들어 이용하실 수 있게 됩니다.

2) UnetBootin 

http://unetbootin.sourceforge.net/  에서 제공하는
OS 부팅 도구 제작 프로그램입니다, 물론 , 리눅스용도 있습니다.

3) Linux Live Usb Creator

http://www.linuxliveusb.com/ 에서 제공하는 
OS 부팅 도구 제작 프로그램입니다. 


< Linux 에서 리눅스 설치 도구 만들기>

아주 많은 방법들이 있죠, 그리고 참 쉽게 할 수 있어요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터미널에서 dcfldd 명령어를 이용하는 방법 

sudo apt-get install dcfldd

sudo dcfldd if=[iso 이미지의 위치] of=[설치할 저장장치] 

ex) sudo dcfldd if=/home/bagjunggyu/elementaryos-stable-i386.20130810.iso of=/dev/sdb

이글을 참고하세요
http://bagjunggyu.blogspot.kr/2013/04/linux-mint-ubuntu-usb-usb-low-level.html

2) usb-creator-gtk , unetbootin , image-writer(mint stick) ,등등

의 리눅스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겁니다.

usb-creator-gtk 

sudo apt-get install usb-creator-gtk 

unetbootin 

sudo apt-get install unetbootin

image writer는 민트에서 이용되고 있구요, 다른 os에서는 mintstick 입니다.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세요
http://www.ubuntuupdates.org/package/mint_main/maya/main/base/mintstick
http://www.ubuntuupdates.org/package/mint_main/olivia/main/base/mintstick 

P.S) 이번에  Linux Mint 16 Petra 에 함께 등장한 mintstick 입니다.

https://dl.dropboxusercontent.com/u/54450962/mintstick_1.1.7_all.deb
민트 13/14/15에서 이용하시려는 분들은 
우선 이미 설치된 imagewriter를 제거 하신후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apt purge -y usb-imagewriter


3) GRUB 에서 설치하기

한번 Linux를 설치하신 후에는, 이렇게 좋은 방법이 기다리고 있답니다.
부팅 USB , CD, DVD를 만들 필요없이 직접 GRUB에서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멀티 부팅을 하시려고 한다면, 직접 grub.cfg 파일을 수정해서 바로 설치 하시면 됩니다.
멀티 부팅을 하시려는 분들은, 아래의 두글을 꼭 읽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GRUB 에서 OS 설치하기

http://bagjunggyu.blogspot.kr/2012/12/grub-linux-mint-2.html

멀티 부팅할때 GRUB 관리하기

http://bagjunggyu.blogspot.kr/2013/02/boot-loader-grub-grub.html

리눅스 설치과정은 이글을 참고하세요

http://bagjunggyu.blogspot.kr/2012/09/maya_26.html


로우포맷에 관해서는 이글을 참고하세요
http://bagjunggyu.blogspot.kr/2013/04/linux-mint-ubuntu-usb-usb-low-level.html

4) USB에 GRUB 설치해서 GRUB를 통해 OS 설치하기

리눅스를 설치한 후에 GRUB를 USB에 설치해 둘 수 있습니다.
현재 GRUB의 백업 용도로 이용하시면 좋고요,그보다 더 좋은건 OS를 설치하는 장치가 되어준다는 겁니다.
위의 3)에서 GRUB에서 OS 설치하기를 먼저 참고하시면 읽기 수월하실 겁니다.

우선 작업의 편리를 위해 USB 레이블을 달아주세요

Gparted를 이용하시면 편리합니다. Gparted를 실행 하고, 장치를 /dev/sdb로 바꿉니다.
그리고는 그림처럼 장치를 선택해서 레이블을 바꿉니다.

알기 쉽게 usb라고 붙였습니다.소문자로 붙였지만 대문자로 바뀌더군요


편집에서 모든 작업 수행하기를 눌러서 실행하면 USB라는 이름표가 붙습니다.

터미널에서 확인해 볼까요?


ls /media

USB라고 보이시죠?
이렇게 레이블을 붙여주셔야 이후 작업이 수월합니다.

sudo blkid


이제 GRUB를 USB에 설치하겠습니다.


sudo grub-install --root-directory=/media/USB /dev/sdb

sudo grub-mkconfig -o /media/USB/boot/grub/grub.cfg
sudo chmod 777 -R /media/USB/boot

마지막 구문은 GUI 모드에서도 grub.cfg를 관리하기 편하게 만들어 준 겁니다.

여기까지는 GRUB를 USB에 설치하는 과정입니다.

지금 부터는,GRUB에서 OS를 설치하기 위한 준비과정입니다.


우선, USB에 /iso 폴더를 하나 만들어서 OS 설치에 필요한 iso 이미지들을 저장해둡니다.


그리고, USB에 설치된 grub.cfg 파일을 불러들여서 설치를 위한 준비작업을 해줍니다.


sudo pluma /media/USB/boot/grub/grub.cfg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 줍니다.

저는 3개의 OS를 설치할 준비를했습니다.
(hd0,1) usb로 부팅했기 때문에 
1번 장치를 usb로 인식합니다. 그래서 hd0 이 됩니다. 파티션이 1번이라서 1이구요 

menuentry "/iso/elementaryos-stable-i386.20130810.iso" {

loopback loop (hd0,1)/iso/elementaryos-stable-i386.20130810.iso
set root=(loop)
linux /casper/vmlinuz boot=casper iso-scan/filename=/iso/elementaryos-stable-i386.20130810.iso
initrd /casper/initrd.lz
}

동영상 마지막 부분(08:37) 을 (09:25)까지 넘겨주세요.
이제 GRUB 화면에서의 차이점을 보시면요
먼저 하드디스크로 부팅할때 GRUB 화면입니다.
여기에는 위에서 준비한 내용들이 보이지 않습니다.

지금은, USB를 먼저 읽게 설정 한후에 USB로 부팅했을때의 GRUB 화면입니다.

설치하려는 OS 목록들이 준비한대로 나오지요? 

이렇게 차이를 보입니다.

그리고, 선택해서 OS를 설치하면 됩니다.
하지만, USB에서도 GRUB를 통한 설치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iso 이미지들이 있습니다.
그것도 지금 사용하는 컴퓨터에서는 안될지 모르지만, 다른데서는 될수도 있답니다.
그 반대일수도 있구요, 그럼에도 아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iso만 USB에서 읽어 들이고, 작동은 램드라이브에서 하기때문에 빠릅니다.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서 가장 usb의 용량을 최대한 이용하실 수 있는 방법입니다.

설치중간에 이런 안내문이 나오면 "예"를 누르신 후에 진행하시면 됩니다.


여기부터 소개해 드리는 도구들은 아직 제대로 작동하지는 않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잘 되기도 합니다만, 조만간 잘  되리라 보며 , 
여러분에게 소개합니다.

5) MultiSystem을 이용한  멀티 OS 부팅 usb 만들기 
Yumi에서도 리눅스용이 나와있지만 , 아직 제대로 작동하지는 않습니다.
이번엔 MulitiSystem을 이용한 멀티 OS 부팅 usb 만들기를 해보겠습니다.
홈페이지 : http://liveusb.info/dotclear/
파일다운로드 : http://liveusb.info/multisystem/install-depot-multisystem.sh.tar.bz2

MultiSystem은 우분투와 우분투 배포판을 위한 도구입니다.
OS또는 iso이미지에 따라, 가끔 안될때가 있습니다.
먼저 xterm을 설치하신후에 설치해주세요
sudo apt-get  install xterm

우선 파일을 다운받으신후에 압축을 풀어주세요
압축을 풀면 나오는 install-depot-multisystem.sh 을 더블 클릭하시면 실행됩니다.
관리자 권한이 필요하다네요. 

xterm이 실행되면서 관리자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합니다.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스스로 저장소를 더해서 프로그램들을 다운받아 설치합니다.

MultiSystem이 메뉴의 어플리케이션 / 부가기능에 등록되었답니다.

 이렇게 생겼습니다.

usb를 꽂고 마운트 해준후 MultiSystem을 실행합니다.

그럼 이렇게 실행됩니다.

장치를 클릭하고 Confirm을 누릅니다.
경고: Grub2를 MBR에 설치한답니다!!! , 허허 MBR ...
괜찮습니다. usb의 MBR입니다.

label 이라는 제목과 함께 터미널이 또 열렸습니다.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Error!! 라니!! 
가만히 살펴보니, 안내라는 말이 어울리겠네요, USB에 label이 없어서 label을 만들어 주었답니다.
그래서 위의 터미널 제목이 label이었습니다. usb를 빼서 다시 꽂으시랍니다.

그렇게 usb를 빼서 다시 꽂으니 , 파일브라우저에서 usb에 MULTISYSTEM이라는 label이 붙은게 보이네요
마운트 해주세요, 저렇게 금색으로 보이는 표시처럼 usb가 연결이 되었다는 표시가 꼭 나와야 합니다.
os따라 usb를 꽂자마자 이렇게 연결되기도 하지만, 아닌 경우도 있으니 꼭 확인해주세요.

MultiSystem을 실행해서 다시 장치를 선택하고, Confirm을 해줍니다.

이 usb에 Grub2를 설치하는게 맞냐는 확인 대화상자입니다. OK 눌러주세요

드디어, MultiSystem이 실행 되었습니다.

작업은 간단합니다.
설치하려는 iso 이미지를 녹색 화살표가 있는 칸에 끌어다 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 이렇게 터미널이 열리면서 비밀번호를 넣으면 작업을 시작합니다.

이렇게 한 개 , 두 개 usb의 저장용량에 맞게 설치하시면 됩니다.

저는 4개 설치했습니다.

MultiSystem으로 부팅한 화면입니다.

MultiSystem을 지우실땐, MultiSystem을 실행하셔서, Uninstall 하시면 됩니다.

그럼 이렇게 Remove 라고 나오면서 지우기 과정이 시작됩니다.
Y 를 눌르시면 지워집니다. 


이렇게 리눅스에서 이용가능한 "멀티OS 부팅 usb" 만드는 도구 MultiSystem을 살펴봤습니다.

6) YUMI를 이용한 여러 OS 설치 usb 만들기
윈도우에서 되던 이 기능이 리눅스용으로도 나왔답니다.
아직은 제대로 되질 않습니다. 그래도 곧 제대로 되리라 보며, 혹시나 되는 분이 계실까하고 정보로 올려봅니다.

아래 링크의 다운로드에서 YUMI for Ubuntu Linux나, YUMI for Debian Linux를 다운받으세요

http://www.pendrivelinux.com/yumi-multiboot-usb-creator/

우분투, 민트, 루나 , 보이저 에서는 

ppa를 더해서 먼저 gamabs3를 설치하고 YUMI를 설치해야 합니다.

sudo add-apt-repository ppa:nemh/gambas3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gambas3


sudo add-apt-repository -y ppa:nemh/gambas3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gambas3 -y

실제로 usb로 부팅이 되질 않고, Misc Options 이라는 자체 기능중에 포맷이 안되며, 

USB로 부팅해서 OS를 설치하려는데, Missing Operation System 이라면서 안되기에, 
다시 YUMI를 실행 해서 Rebuild Syslinux를 실행했지만, 안되더군요
리눅스용 YUMI는 아직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그럼 시작해 볼까요?
우선, 파일 브라우저에서 usb가 제대로 꽂혀 있는지 부터 확인해주세요
그리고, 포맷을 해줍니다.
Debian과 CrunchBang에는 usb-creator-gtk가 없어서, Gparted를 이용해서 포맷했습니다.
Gparted 실행 하셔서 장치를 /dev/sdb로 바꾸면 usb를 포맷할 준비가 된것입니다.

마운트 해제 하구요


기존의 파티션 삭제를 선택합니다.


편집에서 모든 작업 수행하기를 하면 삭제합니다.


파티션이 없는 usb에 새로 파티션을 만들겠습니다. New 를 선택합니다.


그림처럼 설정해주세요.

기본 파티션, 파일 시스템 fat32,  Label도 usb가 여러모로 편리합니다. 추가를 눌러주세요.

편집에서 모든작업 수행하기를 눌러서 설정한 대로 실행합니다.


이렇게 Gparted를 이용해서 usb를 포맷했습니다.


이젠 설치한 YUMI를 실행해서 "멀티OS  부팅 usb"를 만들겠습니다.
YUMI에서 usb를 새로 읽어들이라는 오류메시지가 나오면, usb를 뺐다가 다시 꽂고 실행해 주세요.
비밀번호 입력하시구요.

Browse ISO를 눌러서 설치할 OS의 iso 이미지를 불러옵니다.


Linux Mint 13 Maya Mate 부터 설치해 보겠습니다.


이렇게 Browse ISO 옆에 iso 이미지의 path가 보이면 설치 준비 끝입니다.

Create을 눌러서 설치 시작합니다.

내용이 맞나 확인해줍니다. 맞으면, Install을 눌러서 설치 시작합니다.


그러면 이렇게 설치하게 됩니다.


설치되면 목록에 OS 이미지가 표시됩니다.


이렇게 같은 방식으로 USB 용량에 맞게 OS 이미지를 담아 줍니다.


Tutorial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OcC5jnQMqNY




이렇게 Windows와 Linux에서 OS 설치도구 만들기를 마치겠습니다. 



참조) USB에 GRUB 설치하기
http://members.iinet.net/~herman546/p20/GRUB2%20Bash%20Commands.html#GRUB_USB


반응형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RPM, YUM의 차이점과 설명  (0) 2014.11.23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0) 2014.11.23
GUID(Globally Unique Identifier)  (0) 2014.11.23
리눅스와윈도우 멀티부팅이야기  (5) 2014.11.22

RPM, YUM의 차이점과 설명

Linux 2014. 11. 23. 21:55
728x90

1. 프로그램 설치를 위한 RPM 

01. RPM이란 Redhat Package Manager의 약자로서, windows의 setup.exe와 비슷한 설치파일이다.

이러한 설치 파일의 확장자명은 *.rpm 이며, 이를 패키지라고 부른다.

Redhat계열인 CentOS, Redhat, Fedora 등 이있습니다. 이와같은 계열들은 모두다 rpm 호환이 됩니다. 다른 리눅스운영체제에서는 먹힐수도있지만 거의 안먹힘니다.

  

02. 파일의 의미

gedit-2.26.1-1.fc11.i586 파일은 x윈도우용 에디터인 gedit을 설치하는 파일이다.

rpm파일의 형식을 살펴보자.

" gedit      -    2.26.1 - 1                .fc11         . i586 " 

  패키지 이름     버전     오류 수정 횟수   페도라 버전   아키텍쳐CPU 

        


03. 자주 쓰이는 rpm의 사용법

   1)설치

rpm  -Uvh   <*.rpm>

U : 파일을 설치하되, 설치되어 있는 파일은 업그래이드한다.

v : 설치과정을 확인한다.

h : 설치 진행과정을 "#"마크로 화면에 출력해준다.

   

   2)삭제

rpm  -e  <*.rpm>

e는 Erase의 약자이다.

   

   3)설치된 패키지 정보 확인

rpm  -qa  <*.rpm>   :   시스템에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rpm  -ql  <*.rpm>    :   특정 패키지에 어떤 파일이 포함되어있는지 확인

rpm  -qi  <*.rpm>    :   설치된 패키지의 상세정보

rpm  -qf  <*.rpm 의 절대 경로> : 설치된 파일이 어느 패키지에 포함되어있는지 확인

   

   4)설치되지 않은 rpm 파일 정보 확인

rpm  -qlp  <*.rpm>   :   패키지 파일에 어떤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

rpm  -qip  <*.rpm>   :   설치할 패키지 파일의 상세정보

   

   

   

2. YUM - 편리한 패키지 설치

rpm 명령에는 의존성 문제가 있다. 웹 브라우저인 Firefox는 X-Window에 의존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X-Window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설치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YUM 툴이다.

yum 명령을 실행하면 해당 rpm 파일이 의존성을 가지는 다른 rpm 파일까지 모두 자동으로 설치해준다.

yum 명령의 기본적인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01. 기본 설치 : yum  -y  install  <패키지>

   

02. rpm 파일 설치 : yum  install  <*.rpm>

   

03. 업데이트 가능한 목록 보기 : yum  check-update

   

04. 삭제 : yum  remove  <패키지>

   

05. 정보 확인 : yum  info  <패키지>

   

06.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고 설치 : yum  localinstall  <*.rpm>

   

07. 패키지 그룹 설치 : yum  groupinstall  "<패키지 그룹 이름>"

패키지 그룹에 포함되는 패키지들을 통째로 설치할 때 사용한다.

패키지 그룹의 종류는 "yum  grouplist" 명령으로 확인한다.

※패키지 그룹 이름을 쓸 때 " " 안에 써 주어야 함을 기억하자.

   

08. 패키지 리스트 확인 : yum  list  <패키지>

"yum  list  all " 은 모든 패키지 목록을 보여준다.

"yum  list  mysql* " 은 mysql이라는 이름이 들어간 패키지의 목록을 보여준다.

"yum  list  available " 은 설치 가능한 목록을 모두 보여준다.

   

09. 특정 파일이 속한 패키지 이름 확인 : yum  provides  <파일이름>

   

10. GPG 키 검사 생략 : yum  install  --nogpgcheck  <*.rpm>

인증되지 않은 rpm 파일을 yum 명령으로 설치하면

"Package ~~.rpm is not signed" 메세지가 뜨면서 설치되지 않는다.

그럴 때 인증을 생략하는 명령어이다.

   

   

   

3. YUM 설정 파일

yum 명령어와 관련하여

" /etc/yum.conf " 파일과

" /etc/yum.repos.d/ " 디렉토리가 있다.

   

/etc/yum.repos.d/ 디렉토리의 파일들은 yum 명령을 입력했을 때 검색하게 되는 네트워크의 주소가 들어있다.

해당 URL이 변경된다면 yum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 때 직접 파일의 내용을 수정해 주어야 한다.

 


4 .YUM 의단점과 RPM의 단점

1) YUM의단점

- 네트워크가 단절된곳이면 yum의 명령어로 인스톨을하거나 업데이트를 받을수가 없다 

2) RPM의단점

- 의존성문제로인해 설치를하기위해 RPM파일들을 찾아야된다,

반응형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Linux 2014. 11. 23. 21:39
728x90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는 16Byte(128Bit)로 이루어진 규격화된 숫자이다.
이론적으로 가능한 UUID의 총 수는 3 X 10^38  이다. UUID 값에는 UTC 타임을 기반으로 시각정보도 자동으로 생성하여 반영한다.
그냥도 겹치는건 거의 불가능한데 생성시 시간값(대략 1/100000초)을 반영하므로 일생동안 겹치는 숫자를 눈으로 목격하는건 불가능하다.
UUID는 중앙집중식의 컨트롤 없이 분산 시스템에서 정보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인간이 아닌 컴퓨터를 위해 만들어 졌다.

디스크 맵핑으로 활용
CentOS 6.x 부터(Fedora16, ubuntu12.x등)는 디스크 마운트를 위한 설정 파일인 /etc/fstab /etc/grub.conf에서 기본으로 UUID로 디스크를 맵핑하여 마운트 되도록 설정이 되어있다. 이는 서버에 연결된 디스크가 네트워크 형태로 연결되어 마운트를 하는 경우 디바이스 순서가 바뀌거나 라벨명이 겹치는 등의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UUID 값 확인하기
UUID 값은 파일시스템 생성과 동시에 메타데이터(슈퍼블럭)로 디스크내에 존재한다.
슈퍼블록은 파티션에 파일시스템을 생성할때 다수를 만들어 놓으므로 배드섹터 등으로 UUID 값이 날라갈 확률은 미미하다.
디스크들의 UUID 값을 한눈에 보려면 쉘에서 아래 디렉토리를 보면된다. 싱볼링링크 형태로 UUID 파일이 존재하는걸 볼 수 있다.
# ls -la /dev/disk/by-uuid
또는
# blkid  또는 blkid -o full -S UUID


반응형

GUID(Globally Unique Identifier)

Linux 2014. 11. 23. 21:35
728x90
GUID(Globally Unique Identifier)
전역 고유 식별자(GUID)는 응용 소프트웨어에서 사용되는 유사 난수이다. 
GUID는 생성할 때 항상 유일한 값이 만들어진다는 보장은 없지만,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값의 수가 
2128 = 3.4028×1038개로 매우 크기 때문에, 적절한 알고리즘이 있다면 같은 숫자를 두 번 생성할 가능성은 매우 적다.

GUID는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등 많은 곳에서 쓰이지만, 가장 눈에 띄는 구현은 아마도 마이크로소프트의 구현일 것이다.
표준으로는 오픈 소프트웨어 파운데이션(Open Software Foundation, OSF)
지정한 범용 고유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UUID)가 있다.

기본 구조
GUID는 16바이트, 즉 128비트 숫자이다. 16진수로 쓰면 다음과 같은 형태이다
3F 25 04 E0 4F 89 11 D3 9A 0C 03 05 E8 2C 33 01
특별히 규정된 텍스트 표현이 없기 때문에, GUID를 텍스트로 쓰는 방법은 구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많이 사용되는 표현 중 하나로 GUID를 순서대로 4바이트, 2바이트, 2바이트, 8바이트로 나눈 뒤 하이픈으로 구분하여 
16진수로 작성하고 중괄호로 묶는 방법이 있다. 다음은 위의 GUID를 이 방법으로 표현한 것이다.
{3F2504E0-4F89-11D3-9A0C0305E82C3301}

알고리즘
새로운 GUID를 생성하는 OSF의 알고리즘(V1 GUID)은 광범위한 비판을 받고 있다. 
이 알고리즘은 GUID의 마지막 숫자 그룹을 생성할 때 사용자 네트워크 카드의 MAC 주소를 기반으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특정 문서를 작성한컴퓨터를 추적하는 일 등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헛점은 멜리사(Melissa) 웜을 만든 개발자를 찾는데 사용되기도 하였다.
MAC 주소를 사용하는 V1 GUID는 {2f1e4fc0-81fd-11da-9156-00036a0f876a}와 같이 세 번째 숫자 그룹의 첫 번째 숫자에 "1"을 사용한다
이후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GUID는 MAC 주소 대신 임의의 숫자를 사용하며, 
{38a52be4-9352-453e-af97-5c3b448652f0}처럼 숫자 "4"를 사용한다.


반응형

파일시스템 생성과정, RAID 구축

Linux/RedHat 2014. 11. 22. 09:10
728x90

하드디스크 [IDE, SCIS SSD등]준비 또는 남은파티션 준비.

페도라에서 했습니다. /dev/sda는 리눅스 파티션이고요 따로 1기가짜리 하드를 4개 했습니다.

파티션생성과정이고요.
n  : 새로운 파티션생성
p  : Pramary 파티션생성
1  : 파티션 넘버
cylinder : 용량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w : 저장하고 나오기

방금전에 파티션작업을한것을 파일시스템을 생성하였고요
파일시스템은 여러가지종류가있지만 가장많이 쓰이면서 저널링이 지원되는 ext3 시스템으로 생성하였습니다.

레이드를 구성하기전에 꼭필요한 작업이있습니다.
파티션작업을하실때 system을 바꾸어주는것인데요 
L : 으로는 파티션만들기전에 어떤 종류의 파일시스템이있는가에대해서 번호가 나옵니다. fd 라는것이번호고 Linux raid Autodetect 가 RAID를하기위한 파일시스템이죠.

mdadm RAID구성단계 

--create 장치명 장치명에다가 레이드를 구성할것이다

--level=X 레이드의종류는 0 1 5 등이있습니다. 

--raid-device=X 레이드의 종류에따라서 2~X 개정도까지 됩니다.

mkfs.ext3 = mkfs -t ext3
위의명령어는 같다라는 것을 보여드리기위해 /dev/sdb1은 mkfs.ext3 로 포맷을했고요
/dev/md0는 mkfs -t ext3 로 포맷을 하였습니다.

마운트한결과이고요 보시는거와같이 1.1GB Filesystem 드라이브가 2개인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하지만 눈썰미 좋은 여려분들은 아실거라 믿습니다. 어떤것이 레이드장비이고 어떻것이 그냥 파티션인지를 ...

이상 파일시스템 생성과정과 레이드에대한 강의가 끝났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리눅스와윈도우 멀티부팅이야기

Linux 2014. 11. 22. 07:53
728x90

WindowsXP,Windows7,Windows8,Windows8.1설치후 리눅스 설치후 윈도우 계열이 부팅로더에 없어요...

또는 윈도우 계열이 부팅이 안되는현상 해결하는방법

저는 윈도우8을깔고나서 CentOS7 을 깔았는데요 부트로더가 CentOS7으로 바뀌면서 윈도우8은 부팅이 안되게 되었죠.

하지만 CentOS에서 보면 정상적으로 윈도우는 설치가되어있고요 부팅할때 선택되는메뉴만 없는것입니다.

CentOS에서 # vi /boot/grub/grub.cfg or # vi /boot/grub2/grub.cfg

하면 영어로 쫙 써있습니다. 이것은 Grub(부트로더) 의 옵션들과 메뉴들을 나열하는것인데요.

윈도우8을 부팅시킬려고 저는 윈도우8을 추가를 시켰습니다. 

이렇게하면 부팅이 되더라고요... 저도 처음에 너무 헤메고 찾고 하다보니깐 너무 정보가 없는상태이더라고요 한국에는....

리눅스라는자체가 한국에는 널리 퍼져있는것도아니고요...

위의 명령어를 치신다음에 

 menuentry "Windows8"{
 insmod ntfs
 insmod chain
 insmod drivemap
 set root=(윈도우파일이 설치되있는 곳)
 chainloader +1

menuentry "Windows8" 이것은 메뉴를 선택할때 보여지는것입니다. 즉 메뉴라는뜻이죠

insmod ntfs,chain,drivemap 등은 어떠한 파일시스템종류인가 바뀌어질것인가 드라이버는 어디있나 라는 말들입니다.

set root=(윈도우설치되어있는드라이브) 이것은 grub 에서 ls -l 로 치시면 나옴니다. 윈도우계열이니깐 거의 ntfs로 쓰실겁니다. 확실하게 하실려면 디스크 이름을찾으시면 됩니다.


​저는 GRUB 에서 ls -l 명령어로 치니깐  

(hd0,msdos1) linux [CentOS7]  파일형식 xfs 드라이브명칭등 

(hd0.msdos2) Windows8 파일형식 NTFS 드라이브명칭등

(hd0,msdos3) Windows8 파일형식 NFTS 드라이브명칭등

-(hd0,msdos2)가 윈도우 8이 깔아져있는 파티션이고요 윈도우쪽에서 얘기하자면 C:\이고요

-(hd0.msdos3)가 윈도우에 D:\ 를 얘기합니다.

제가 최종적으로 Vi 편집기로 추가한내용은 이렇습니다.

menuentry "Windows8 Enterprise k"{

insmod NTFS

insmod chain

insmod drivemap

set root=(hd0,msdos2)

chainloader +1

}

을 추가를해서 멀티부팅에 성공하였습니다.

반응형